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년실업과 고령화는 서울의 부동산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투자의 정석 2020. 1. 30. 22:00

    결국 서울만 살아남을 것이다.

     

    부동산 시장은 간단히 말해 사람이 떠나는 곳은 가격이 떨어지고, 사람이 모이는 곳은 가격이 오를 확률이 높다.

    최소한 떨어지지는 않는다.

    정부가 아무리 서울에 집중적으로 규제를 해도 결국 서울은 살아남을 것이란 것이 내 생각이다.

     

     

    청년실업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현재 심각한 사회 문제인 청년실업과 연관지어서 이야기 해보겠다.

    우리나라는 대학진학률이 80%를 넘는다. 수많은 대학졸업자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대기업 또는 공무원이다.

    하지만 대기업과 공무원을 들어갈 수 있는 인원은 매우 제한적이다. 확률적으로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청년들이 원하는 대기업과 공무원을 취업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곳은 바로 서울이다.

    물론 지방의 대도시에도 준비를 할 수 있는 곳이 있지만 서울만큼 인프라가 잘되어 있는 곳이 없다.

    대기업준비도 서울이 좋다. 대부분 취업설명회는 서울에서 개최가 되고 서울에 있는 대학교 강당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취업정보는 서울에 있기 때문에 많은 청년들이 어쩔수 없이 서울로 올라오게 된다.

    만약에 취업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본사가 서울에 있기 때문에 서울에 정착을 하게 된다.

    인턴을 하게되더라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들이 생활하기에 여러모로 편리하다

     

    경제적 여건이 마땅치않아 아르바이트를 하며 취업준비를 하게 될경우에도 서울에는 상당히 많은 아르바이트 자리가 있다.  교통편도 잘되어 있어 밤늦게 까지아르바이트, 공부를 하고 귀가하기도 편리하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청년들이 서울로 오게 되고 서울에 많은 인구가 몰리게 되므로 당연히 서울의 부동산 가격은 상승을 하게된다.

     

     

    고령화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청년실업과 더불어 노인층이 늘어나는 것도 서울의 부동산시장의 상승을 이끌게 된다.

    지방에 사는 고령자가 급성심근경색이 왔을때 서울에 사는 사람보다 사망할 확률이 3배나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노인이 되면 귀농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인 경우가 많다.

    가장 큰이유는 대형 병원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암이나 심뇌혈관 질환등 각종 위험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럴때는 대부분 서울로 올라와서 치료를 받기를 원하고 또 그렇게 하고 있다.

     

    고령자들에게는 나의 생명을 지켜줄수 있는 대형병원의 유무가 삶에 있어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고령자들이 실버타운에 들어가 남은여생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실버타운도 전원휴양형, 도시형, 도시근교형이 있는데 그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곳이 도시형실버타운이다. 주로 도심 역세권근처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다. 퇴직을 한 고령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도 서울이 좋다.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지방보다는 훨씬 많다

     

    위의 이야기처럼 청년들과 노인들이 여러가지의 편리함 때문에 서울에서의 생활을 선호하게 된다.

    이 이외에도 교통, 교육여건등 서울의 부동산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수십가지가 된다.

     

    정부에서 각종 규제로 서울의 부동산 가격을 잡겠다고 하지만 결코 쉬워 보이지 않는다.

    서울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더욱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오고 싶어 할 것이다.

    처음에도 언급한 것 처럼  사람이 모이는 곳은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높다.

    서울의 상승은 끝나지 않았다는게 나의 생각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